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3판)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 책소개 >>

  3판은 다음의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작업을 진행하였다. 첫째, 각 장의 주요 통계 관련 자료를 가급적 최신의 것으로 모두 교체하였다. 둘째, 이전 개정판에서 상대적으로 분량이 적었던 각 장애 영역별 핵심 내용을 보완하여 확대, 재구조화하였다. 셋째, 서로 관련되는 내용은 묶어서 재구성하였다. 넷째,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기초학력지도 강조 흐름에 맞추어 통합학급의 또 다른 구성원인 기초학력부진학생 진단과 지도 관련 내용을 보완하였다. 다섯째, 어휘나 문장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수정하고, 오탈자 등의 오류를 최대한 줄이려 노력하였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기존의 2장(특수교육의 특수성과 현황)과 6장(특수교육대상자의 선별, 진단 및 배치)을 합쳐 2장(특수교육의 이해)으로, 기존의 7장(개별화교육 프로그램(IEP)의 이해와 작성)과 14장(통합교육을 위한 공동협력)을 합쳐 13장(통합교육을 위한 공동협력)으로 구성하였고, 기존의 13장(사회적·심리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통합학급 운영)을 7장(학급공동체 형성을 위한 통합학급 운영)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기존의 3장(인지 및 정서 관련 특수교육대상자)과 4장(감각 및 지체 관련 특수교육대상자) 내용을 세 개의 장으로 확대·재구성하여 3장에서는 지적장애, 학습장애 및 의사소통장애를, 4장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5장에서는 감각장애, 지체장애, 건강장애 및 발달지체를 다루었다.

<< 목차 >>

3판 머리말

제 1장 학급 구성원의 다양성 이해 및 통합교육의 개념화
1. 이 장의 취지
2. 학급 구성원의 다양성 이해
3. 통합교육의 개념화
4. 통합교육 관련 쟁점
▶ 참고문헌

제 2장 특수교육의 이해
1. 이 장의 취지
2. 특수교육의 이해
3. 특수교육과정
▶ 참고문헌

제 3장 지적장애, 학습장애 및 의사소통장애
1. 이 장의 취지
2. 장애의 개념 및 정의
3. 지적장애
4. 학습장애
5. 의사소통장애
▶ 참고문헌

제 4장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1. 이 장의 취지
2. 정서·행동장애
3. 자폐성장애
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 참고문헌

제 5장 감각장애, 지체장애, 건강장애 및 발달지체
1. 이 장의 취지
2. 시각장애
3. 청각장애
4. 지체장애
5. 건강장애
6. 발달지체
▶ 참고문헌

제 6장 영재학생의 이해와 지도
1. 이 장의 취지
2. 영재의 정의, 분류 및 출현율
3. 영재학생의 특성
4. 영재학생의 선별
5. 영재학생의 교육 지원
▶ 참고문헌

제 7장 학급공동체 형성을 위한 통합학급 운영
1. 이 장의 취지
2. 공동체의 개념: 배려와 지원으로 고양되는 개인의 성장
3. 학급공동체 형성을 위한 전략
▶ 참고문헌

제 8장 통합학급 내 사회적 관계 지원
1. 이 장의 취지
2.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
3. 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4. 사회적 관계 지원방안
▶ 참고문헌

제 9장 행동지원
1. 이 장의 취지
2. 행동문제와 행동지원의 개념
3. 행동문제의 기능평가
4.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의 수립
5. 행동지원 계획의 실행 및 평가
6. 행동지원의 예
7. 학교(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 참고문헌

제 10장 통합학급 내에서의 교수전략
1. 이 장의 취지
2. 통합학급 내 교수전략의 근거와 방향
3. 통합학급 내 교수전략 유형
4. 통합학급 내 교수전략의 실제
▶ 참고문헌

제 11장 또래지도 및 협동학습 활용
1. 이 장의 취지
2. 또래지도
3. 협동학습
▶ 참고문헌

제 12장 기초학력부진학생 진단과 지도
1. 이 장의 취지
2. 읽기학습문제의 이해와 지도
3. 쓰기학습문제의 이해와 지도
4. 수학학습문제의 이해와 지도
▶ 참고문헌

제 13장 통합교육을 위한 공동협력
1. 이 장의 취지
2. 공동협력의 중요성
3. 공동협력의 범위
4. 공동협력의 실행
5. 공동협력의 진행 및 모니터
▶ 참고문헌

찾아보기


<< 저자/역자소개 >>

<< 저자 >>
이대식
서울대학교 교육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방법 석사)
University of Oregon(특수교육 전공, 철학박사)
Eugene Research Institute(연구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학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특수교육 전공, 교육학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지적장애 전공, 특수교육학박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이은주
숙명여대 교육심리학과(학사)
Ball State University(특수교육 전공 석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특수교육 전공, 철학박사)
청주교육대학교 부교수

허승준
전남대학교 교육학과(학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심리 석사)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특수교육 전공, 철학박사)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박사후과정, 연구원)
광주교육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