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


<< 책소개 >>

이 책은 UDL을 통해 모든 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 및 실제에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물론 이 책을 읽는 교육자들은 UDL 가이드라인을 교실에 적용하면서 그들 자신의 통찰력과 모범 사례를 발견할 것이다. 이 연구의 핵심 주제는 인간의 가변성과 다양성은 끝이 없으므로 교육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모든 사람에게 최적의 학습 기회를 제공할 만큼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학습자와 교사 사이의 큰 차이점은 극복해야 할 장벽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드는 데 있어 축하받고 구축해야 할 훌륭한 강점인 것이다.

<< 목차 >>

chapter 1 보편적 학습설계 개요-질의 및 응답
UDL이란 무엇인가
뇌의 세 가지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왜 UDL은 필요한가
UDL은 특수교육인가, 일반교육인가
UDL과 UD는 어떤 관계인가
UDL에 대한 연구의 기초는 무엇인가
UDL을 모든 교육과정에 적용한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왜 테크놀로지와 UDL은 자주 함께 논의되는가
UDL 원리는 테크놀로지 없이 적용할 수 있는가

chapter 2 실천을 위한 도구-보편적 학습설계 가이드라인
이 장의 목적
UDL 가이드라인이란 무엇인가
UDL 가이드라인과 세 가지 UDL 원리
가이드라인과 테크놀로지
원리 적용하기: 해설 및 구체적인 예시
가이드라인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결론

chapter 3 읽기 전략 교수, 보편적 학습설계 그리고 디지털 텍스트-통합적 접근 사례
도전
읽기교육과 테크놀로지의 교차점
읽기 이해 수업에 UDL 적용하기
디지털 시대를 위한 리터러시

chapter 4 보편적 학습설계를 이용한 쓰기 수업의 변화
쓰기 학습에서의 도전과 쓰기교육
쓰기 교수 기초로서의 UDL
UDL과 웹 기반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쓰기 수업의 변화: MassONE WRITER
설득력 있는 쓰기 학습: JFK 중학교
교육과정 학습을 위한 쓰기: 이스트 고등학교
형성평가 시행 및 장점
글을 잘 그리고 자주 쓰는 작가로 성장시키기

chapter 5 과학 수업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
과학 학습에서의 잠재적 장벽
UDL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과학 수업의 장애물 해결하기
평가에 대한 함의
결론

chapter 6 수학 수업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
수학과 인지적 네트워크
수학과 전략적 네트워크
수학과 정서적 네트워크
UDL이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결론

chapter 7 보편적 학습설계를 이용한 Doing History
전통적 교육과정의 도전 과제
UDL 방식으로 DOING HISTORY 하기
MAKING HISTORY: UDL 기반 온라인 환경
결론

chapter 8 보편적 학습설계 그리고 예술 옵션
예술 선택
댄스 그리고 동작 선택
시각 예술 옵션
음악 옵션
전문성 개발 분야의 UDL 가이드라인
결론

chapter 9 ‛Unplugged’ 보편적 학습설계-기초공학 환경에서 적용하기
UDL 원리
수업 사례: Seed Lesson
결론

chapter 10 보편적 학습설계 실행을 위한 교사 양성
변화하는 미국의 교실: 온라인, 모든 시간
변화하는 캘리포니아 학생의 요구 충족시키기
예비교사 양성: UDL에 보편적 접근 관련짓기
특수교육 환경에서 DSP 422 예비교사의 UDL과 공학의 통합
UDL과 테크놀로지 간의 인터페이스: 교실에서의 예
UDL-테크놀로지 인터페이스: 사례 연구
앞으로의 전망


<< 저자 >>

<< 저자 >>
Tracey E. Hall
비영리 연구 개발 기구인 CAST의 선임 연구 과학자로, 멀티미디어 기술의 혁신적인 사용과 인지신경과학 분야의 현대적인 연구를 통해 모든 학습자의 교육을 향상시키는 일을 한다.

Anne Meyer
공인된 임상심리학자이며 CAST의 교육설계 의장인 동시에 공동 설립자이다. 장애 관련 테크놀로지 분야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전자교과서의 접근성에 관한 텍사스 태스크포스(Texas Task Force on Electronic Textbook Accessibility)에 참여하는 한편, Clinton 대통령의 교육공학 분야 패널이기도 하였다.

David H. Rose
CAST의 교육부 의장 겸 공동 설립자이다. 현재 전미수업자료접근성표준(National Instructional Materials Accessibility Standard)을 개발하고 시행하기 위해 신설된 두 개 국가 센터의 연구 책임자이다.

<< 역자 >>
김남진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졸업(문학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졸업(문학박사)
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김용욱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교 전산학과 졸업
미국 네바다 주립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졸업(특수교육학석사)
미국 유타 주립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졸업(철학박사)
현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