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코드: 온라인으로 검사를 실시하시는 방식 (검사실시 링크 전송 가능)
  전문가지침서는 아동청소년용과 성인용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저자

John P. Golden, Ed. D

한국판 표준화

오인수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학력)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상담자교육 박사

성태제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학지사 자문교수
학력)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캠퍼스 교육측정 및 평가 박사

손지향

현) 심리상담연구소 아임파인 소장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상담·심리전공 박사수료

이보람

현) 한라대학교 성과관리본부 대학 IR센터 조교수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측정 및 평가 박사

구성 및 가격


아동·청소년 GOLDEN 성격유형검사는?

아동·청소년 GOLDEN 성격유형검사는 기존 융의 이론에 기초한 성격유형검사의 취약점을 Big Five 성격이론으로 보완한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성인용 골든 성격유형검사의 아동·청소년 버전이다.

아동·청소년 GOLDEN 성격유형검사는 36가지의 세부척도를 활용하여 다면적으로 성격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존의 성격유형검사에서는 측정하지 않는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파악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이 자신의 성격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검사의 이론모델


검사의 특징

  • 5가지 성격이론을 통합하여 이론적 타당성을 높였다.
    • 기질, 성격이론, 일반적응 증후군, 성격 5요인 모형 및 특성이론
  • 다면척도를 활용하여 성격적 특성을 섬세하게 측정한다.
    • 10가지 포괄척도(10 Global Scales)
    • 36가지의 세부척도(36 Facet Scales)
    • 4가지 기질 & 16가지 성격유형
  • 과학적 측정방식을 적용하여 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였다.
    • 5단계 의미분석법 및 5단계 Likert 응답척도를 활용
    • 양가적 태도 및 판정 불가에 따른 중립응답 허용
    • 척도별 응답 강도 제공, 결과의 총점 및 강도 범주 제공
    • 검사결과의 신뢰도 확인을 위한 ‘반응일관성’과 ‘무응답지표’ 제공
  • 구체적이고 상세한 결과보고서 제공을 통해 현장 활용도를 높였다.
    • 세부척도에 대한 심층 분석 결과 제공
    • 성격유형별 학습방법, 관계개선 전략, 추천 전공 및 직업 등 결과 제공

검사의 유형

성격유형이란?

성격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입니다. 아동청소년 GOLDEN 성격유형검사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4가지 차원에서 성격을 설명합니다. 각각의 차원은 서로 반대되는 두가지의 특성으로 이루어져있어 모두 16가지 유형(4X4)으로 나누어 집니다.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아동청소년 GOLDEN 성격유형검사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정서적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검사의 활용

  • 개인용 결과보고서의 활용

    1) 심리교육
    • 성격유형 및 성격 기질을 통한 자신의 이해
    • 성격유형별 그룹작업을 통한 성격의 다양성 이해
    • 5가지 성격 강점 발견을 통한 자신의 잠재력 이해
    2) 심리상담
    • 세부척도와 특이응답을 통한 성격의 다면적 이
    • 긴장(T)/차분(C) 척도를 통한 성격의 포괄적 이해
    • 친구 및 가족 관계 개선을 위한 조언 활용
    3) 학습 및 진로 교육
    • 성격유형에 따른 적합한 학습환경 및 학습방식 이해
    • 학습 스타일 확인을 통한 학업 성취도 향상
    • 성격유형별 5가지 핵심 성격 특성 관련 추천 전공 및 추천 직업 소개
  • 그룹 보고서(Team Report)의 활용

    1) 생활지도
    • 학급 전체의 성격 역동 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생활지도(생활지도)
    • 성격유형을 활용한 긍정적 학급 분위기 조성(학급운영)
    • 모둠별 성격 역동 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집단지도(모둠운영)
    2) 집단상담
    • 자기이해 및 타인이해를 통한 교우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 학생 간의 갈등해결 및 관계 개선을 위한 집단상담
    • 성격유형별 의사소통 특징을 활용한 효과적인 대화기술 집단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