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이 책은 ADHD의 진단과 치료,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알아야 할 핵심적인 정보를 쉽게 풀어 제공하고 있다. ADHD에 대한 근거에 기반한 내용을 소개할 뿐 아니라 원인, 선별, 진단, 다양한 영역에서 겪는 어려움, 치료 전략, 학교에서의 중재, 가족의 참여와 관련 집단 간 의사소통에 대해 친절하게 다루었다. 또한 저자들의 경험을 소개하기도 하여 치료나 교육 장면에서 실제적인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충실하게 소개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제목에 ‘병원 클리닉과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용 가이드’라는 부제를 붙였다. 부록에는 ADHD 아동을 지도하기 위해 유용하고 필요한 자료의 출처를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어 독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역자 서문
추천의 글
저자 서문

01 소개 및 역사
1. 역 사
2. ADHD 연구 요소

02 원인, 출현율 그리고 장기적 영향
1. 원 인
2. 출현율
3. 장기적 영향

03 선별절차
1. ADHD의 보편적인 선별
2. 다면적 평가 맥락에서의 ADHD 선별
3. 공존장애 선별
4. 학교 관계자와 의료지원 전문가의 역할과 책임
5. 학교, 가정, 의료지원 전문가 사이의 의사소통
6. 결 론

04 진 단
1. 특정 기준
2. 진단의 위험
3. 공존장애의 진단
4. 결 론

05 기능적 장애
1. 학업적 기술 및 수행에서의 어려움
2. 또래 및 권위 대상과의 관계에서의 어려움
3. 교육적 평가를 위한 장애의 함의
4. 치료를 위한 어려움의 함의
5. 결 론

06 치료 전략
1. 향정신성 약물
2. 심리사회학적 치료
3. 통합중재
4. 결 론

07 가족의 역할
1. 진단과 중재에서 가족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지침
2. 가족중심의 의학적 중재
3. 가족-학교 간 협력
4. 가족 참여에서의 문화적 영향
5. 결 론

08 학교에서의 절차와 중재
1. 다중중재 맥락에서 학교기반의 중재
2. 학교기반중재 효과의 중요성
3. 중재 개발 지침
4. 학교기반중재의 예
5. 청소년 대상의 중재
6. 중재 개발을 위한 상담모델
7. 특수교육 또는 「재활법」 제504조 서비스의 적격성
8. 결 론

09 협력적 의사소통
1. 의사-가족 간 의사소통
2. 의사-교사 간 의사소통
3.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
4. 의사소통의 장벽
5. 결 론

10 앞으로의 방향
1. 진 단
2. 치 료
3. 장기적인 영향
4. 체계적인 문제점

부 록
1. 신체적·정신적 건강 전문가를 위한 자료 출처
2. 교사와 교육 전문가를 위한 자료
3. 부모와 가족을 위한 자료
4. ADHD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자료 출처
5. 이용 가능한 자료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안
6. 요 약
저자소개
Mark L. Wolraich
CMRI/SHAUN Wlaters 소아과 교수
오클라호마 대학교 아동연구센터

George J. DuPaul
리하이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교육 및 복지학부 부서장
역자소개
강경숙
2006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교육과학기술부 국립특수교육원 교육연구사로 근무하면서 특수교육 현장 및 정책 연구 등 행정 경험을 쌓았다. 2007년부터 원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부교수로 정신지체,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육 진단 및 평가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 3년간 30여 편의 특수교육 관련 논문을 저술하였으며, 주요 저서로는 『지적장애교육』(공저, 학지사, 2012), 『특수교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공저, 교육과학사, 2009), 주요 역서로 『중도장애』(공역, 학지사, 2009), 『자폐성장애: 조기진단과 통합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 가이드』(공역, 시그마프레스, 2009) 등이 있다.

박혜성
2008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학습장애 전공, 동 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 학사, 석사 취득), 이화여자대학교부속 발달장애센터(구 언어청각센터), 서울아산병원 언어치료실 및 초등학교 특수학급 등에서 근무하며 다양한 특수아동과 성인을 중재하고 임상연구 경험을 쌓았다. 현재 2007년부터 영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구 치료특수교육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으며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 주의집중장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학습 부진과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 관련 분야이며, 주요 저서로는 『조음장애아동과 마비말장애의 치료 및 지도』(군자출판사, 2010), 『학령기 자폐성장애인의 좌충우돌 성장 프로젝트』(공저, 한국자폐인사랑협회, 2011) 등이 있다.

김남희
2011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정서행동장애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에 있는 공립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장애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직접 장애학생과 그 가족을 만나면서 현장연구원(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으로 활동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였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장애학생의 교과학습 및 문제행동’ ‘학교와 가족의 협력’이다.